binance(61)
-
바이낸스 웰스파고 증권 전문가 “연준은 금리 더 높게, 더 오래 유지 가능… 인플레만 생각중”
웰스파고증권의 마이클 슈마허 거시경제전략 본부장은 최근 CNBC와의 인터뷰에서 “제롬 파월 연준 의장이 금리를 더 높게 더 오래 유지할 가능성이 높다”고 경고했다. 바이낸스 슈마허는 “연준은 당신의 친구가 아니다. 역사적으로 지난 15년 동안 연준은 약세가 있을 때마다 구하러 나타났다. 이번은 아니다. 연준은 인플레이션만을 신경 쓰고 있다. 따라서 많은 완화는 생각하지도 말라”고 단언했다.
2023.02.15 -
바이낸스 EU 의회, 은행 보유 암호화폐에 1250% 위험 가중치 부과
EU의회가 최근 암호화폐 자산을 보유한 은행들에 암호화폐에 대한 1250%의 위험 가중치를 부과해야 한다는 내용이 담긴 법안 초안을 발표했다고 외신이 보도했다. 보도에 의하면 해당 법안에 따라 유럽 은행들은 암호화폐를 가장 위험한 보유 자산으로 취급하고, 암호화폐에 대한 직, 간접적인 익스포저를 공개해야 한다. 바이낸스 유럽위원회는 이에 대해 “암호화폐 자산 관련 거래에 참여하는 기관은 재무 안전성을 위해 프레임 워크를 준수해야 한다. 곧 해당 부분에 대한 세분화된 규칙을 마련할 예정이다”고 전했다.
2023.02.14 -
바이낸스 브래드 갈링하우스 “미국 제외 글로벌 시장 암호화폐 규제 도입 활기”
브래드 갈링하우스 리플 대표가 최근 트위터를 통해 “미국에서 일어나는 일에서 잠시 물러서라. 바이낸스 지난 수 주 간 글로벌 시장에서 긍정적 규제 도입이 활기를 띠고 있다. 두바이는 암호화폐 시장 참여자를 위한 규정을 마련했고 호주는 라이선스 및 커스터디 규제를 담은 협의 문서를 발표했다. 한국 금융위원회는 증권형 토큰을 별도 규제하는 방안을 발표했다. 그 외에도 더 있다. 이들 공통점에 주목하라. 이들 규제기관은 미국에서 놓치고 있는 것을 포착해 리더십을 갖고 움직이고 있다. 리플도 이러한 장소에서 성장하고 있다”고 전했다.
2023.02.13 -
바이낸스 데이터 “미국 내 암호화폐 기업 수 약 2000개… 전세계 최대 암호화폐 국가”
크립토슬레이트가 코인저널(coinjournal) 보고서를 인용, 미국의 암호화폐 기업 수가 1992개로 전세계에서 가장 큰 암호화폐 산업을 보유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고 보도했다. 데이터에 따르면 미국에는 5691명의 직원이 1992개 암호화폐 관련 기업에서 근무 중이다. 기업 가치는 총 469.5억 달러 규모다. 영국은 817개의 암호화폐 기업, 617명의 직원, 약 81.6억 달러의 가치를 보유하고 있다.
2023.02.12 -
바이낸스, 美 미시시피주 상원, 암호화폐 노드 운영 및 채굴 사업자 권익 보호 법안 통과
비트코인 매거진에 따르면 미국 미시시피주 상원이 암호화폐 채굴과 노드 운영자들의 바이낸스 권익을 보호하는 법안을 통과시켰다. 앞서 지난 1월 말 미시시피주와 미주리 주 의회는 암호화폐 채굴 사업자 및 노드 운영자를 자금 이체 사업자로 분류하려는 미국 규제 기관으로부터 이들의 권익을 보호하는 법안을 발의한 바 있다.
2023.02.11 -
바이낸스 JP모건 회장 인플레 싸움서 승리 선언 이르다
제이미 다이먼(Jamie Dimon) JP모건체이스 회장이 미국이 인플레이션과 전쟁에서 승리를 선언하기는 이르다며, 기준금리가 5%를 넘을 수도 있다고 경고했다고 이데일리가 보도했다. 보도에 의하면 다이먼의 이같은 경고는 최근 연준 고위인사들이 매파(통화 긴축 선호) 발언을 쏟아내고 있는 가운데 나온 것이다. 다이먼은 인플레이션과 관련 “한 달 수치가 좋아 보인다고 승리를 선언하기 전에 심호흡을 해야 한다. 연준이 (금리를) 5%까지 올리고 한동안 기다릴 것이라고 보는 게 완벽하게 합리적이다. 인플레이션이 3.5% 혹은 4%로 떨어지고 그 수준을 유지한다고 해도 금리는 5%를 넘어야 하고 그러면 시중의 단기금리와 장기금리에 영향을 끼칠 수 있다”고 전했다.
2023.02.10